티스토리 뷰

신산업 분야에서 주도권 선점을 위한 기업들의 투자와 합종연횡이 나날이 과감해지고 빨라지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일본 최대 IT 기업, 소프트뱅크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소프트뱅크는 지난 2010년, 5천 개 기업에 투자해 2040년 경 시총 200조 엔을 달성하겠다는 ‘新 30년 비전’을 발표했습니다. 소프트뱅크는 회사 설립 36년 만에 영업이익 1조 엔을 달성했는데요. 그들의 비전과 전략이 제대로 가고 있는 것을 방증하는 결과가 아닐까 싶습니다. 오늘은 소프트뱅크의 비전과 전략이 현재까지 거둔 성과를 통해 미래 산업의 발전 방향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소프트뱅크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2가지 대형 투자를 단행했는데요. 첫 번째는 모바일 반도체 선도기업 ARM을 2016년 7월 320억 달러에 인수한 것입니다. ARM은 모바일 기기의 두뇌 역할을 하는 반도체의 핵심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전 세계에서 사용 중인 모바일 기기의 90% 이상이 이 ARM 기술을 채용하고 있죠. IoT 시대에 IT 기업들이 대용량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IoT 단말기에 데이터 수집 및 전송용 반도체를 탑재해야 하는데요. ARM이 IoT 반도체 시장까지 선점하게 되면, 전 세계 IoT 기술 동향 및 제품 판매 추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이 소프트뱅크가 ARM을 인수한 배경인 것이죠. 소프트뱅크는 IoT 데이터로 파악한 정보를 통해, 인공지능, 자율주행, 로봇 등 성장 분야의 유망 기업들을 선별하고 투자하는데 적극 활용하고 있는데요. 엔비디아, 우버, 브레인 코프 등이 대표적인 투자 기업들입니다.

 

두 번째 대형 투자는 소프트뱅크 중심의 혁신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비전 펀드의 발족입니다. 2017년 5월 소프트뱅크를 비롯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부다비 국부펀드, 애플, 폭스콘, 퀄컴, 샤프, 다임러 등 기업들이 비전 펀드에 출자했는데요. 그 규모가 1,000억 달러로 사상 최대입니다. 비전 펀드의 투자 규모는 2017년에 297억 달러에 이르는 등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의 유망 업체에 대해 투자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데요. ARM과 엔비디아, 위워크, 크루즈 등에는 20억 달러 이상의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졌고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AI 기반 암 진단, 무인로봇, AI 기반 농업, 핀테크 등의 분야에도 투자하고 있습니다. 비전 펀드의 이러한 투자는 3大 투자 원칙에 따라 이뤄지는데요. 어떤 기준으로 기업을 선정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시장 판도를 바꿀 수 있는 플랫폼 기업에 투자한다는 것입니다. 비전 펀드는 압도적 점유율로 업계 공통기반을 구축하고 그 위에 기업이 참여하도록 '판'을 제공하는 기업에 우선 투자하는데요. ARM과 사무실 공유업체 위워크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신생기업의 동향을 파악하고 있지요.

 

두 번째는 시너지 창출이 가능한 기업에 투자한다는 원칙입니다. 소프트뱅크는 산업별 1위 기업과 유니콘 스타트업에 투자해 기업연합 집단을 구축하는 '群전략'을 구사하고 있는데요. 이를 통해 차세대 기술 및 사업 모델을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확보함으로써 기업 영속을 기대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 분야의 경우, 우버, 엔비디아, 크루즈, 알리바바, 맵 박스 등을 통해 소프트뱅크 중심의 기업연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는, 혁신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투자한다는 것입니다. 비전 펀드는 차세대 IT 산업 분야는 물론, 전통산업에서도 IT를 활용하여 혁신을 실현하는 스타트업을 발굴한 후 투자하고 있는데요. 미국의 부동산 중개기업 컴퍼스가 대표적입니다. 임대인과 임차인을 연결해주고 부동산을 사고팔 수 있는 엔드-투-엔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이죠. 이외에도 위워크, 종안, 오요 룸스, 웨그, 오토 1 등 IT를 융합한 다양한 산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소프트뱅크의 비전과 전략을 실현하는 행보를 보면 주요 기술과 기업을 ‘포착’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 수 있습니다. DT, 즉 Data Technologies 시대가 본격 도래하면서 데이터 역량에 따라 산업에서의 리더십도 변화하고 있죠. 이러한 지각변동에 대응하려면 미래 산업 생태계에서 우리 기업의 위치와 역할을 점검하는 것은 물론 핵심적이고, 독보적인 지위를 차지할 수 있는 혁신 기술 또는 역량을 일찍이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소프트뱅크의 행보에서 미래 산업을 읽는 힌트를 얻으셨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